반응형 사업 개발 캠프6 트립마켓을 아시나요? 괜찮은 서비스가 출시될 것 같아서 알려드립니다. 해외 여행시 환불 불가 조건으로 구매를 했는데...여행이 취소되거나 일정이 변경되어 사용 못하는 경험을 하신분들에게 유용한 정보가 될 것 같습니다. 아래 링크를 타고 들어가시면 출시 사전 알림을 받으실 수 있으니 확인 하고 신청해보세요~해외여행을 저렴하게 하고 싶으신 분들에게 좋은 서비스가 될 것 같네요~ https://tripmarket.framer.website/ 트립마켓 - 여행 티켓·숙소 안전거래의 새로운 시작트립마켓 사전 알림 신청하고 런칭 소식을 가장 먼저 받아보세요!tripmarket.framer.website 2025. 6. 26. [사업 개발 과제] 브랜드명 만들어보기 (로고 포함) 기본 전제 : 향수 관련 회사 또는 제품을 염두해 두고 작성 1. Scentique (센티크)Scent(향) + Mystique(신비) 의 조합어로 향의 신비로움이란 의미로 만들어 봤습니다. 로고 또한 마법과 같은 신비로움을 묘사하여 작성했습니다. 2. Lioraé (리오라에) 라틴어 Liora (빛) + 감미로운 어미 "é"를 붙여 고급스러운 향의 느낌을 표현해 보았습니다. 로고는 심플하면서도 고급지도록 골드색상으로 제작했습니다. 2025. 5. 30. [사업 개발 과제] 퍼널 분석하기 퍼널 분석 기업 : 메뉴잇(Menuit)‘메뉴잇(Menuit)’은 무선 테이블오더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, 최근 ‘오더패드 블랙’이라는 신제품을 출시하여 외식업계에서 주목받고 있다. 아래는 마케팅 퍼널 관점에서 메뉴잇의 현황을 분석한 자료이다. 1. 인지: 포털 노출 및 브랜드 인지도검색 광고 활용: 메뉴잇은 구글 검색 광고를 통해 브랜드 및 제품 노출을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다. 구글에서 "테이블오더" 검색시 하단에 메뉴잇 광고 링크가 확인 된다. 그러나 매번 나오는것은 아니고 10회에 3-4번 정도 확인된다. 업계 1위로 추측되는 티오더는 항상 노출이 되고 있다. 구글에서 "메뉴잇" 검색시 제일 상단 광고 링크가 확인된다. 브랜드 인지도 :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와 쇼핑 플랫폼에 다수의 리뷰가 등.. 2025. 5. 19. [사업 개발 과제] 사업 아이디어 생각해 보기 5가지 1. AI 기반 헬스케어 상담 서비스수익 모델: 월 구독료, 1:1 전문가 상담 유료화, 건강 관련 제품 추천 수수료 가설: 바쁜 현대인들은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도 초기 건강 진단 및 상담을 받고 싶어한다. 특히, 만성질환자나 스트레스 관리가 필요한 사람들은 정기적인 상담을 원할 가능성이 높다. 구현 방안: MVP 단계에서 무료 헬스케어 상담 챗봇을 제작하고, 일정 기간 후 유료 상담 서비스로 전환. 초기에는 건강 관련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통해 고객 맞춤형 상담을 제공하고, 이후 AI 모델 고도화를 통해 더욱 정교한 상담 시스템 구축 2. 맞춤형 여행 일정 생성 서비스수익 모델: 프리미엄 일정 생성 비용, 광고 수익, 여행사 제휴 커미션, 제휴 숙박/액티비티 예약 수수료 가설: 많은 사람들이 여행.. 2025. 5. 16. [사업 개발 과제] 플랫폼 비즈니스 빌드업 공식 1. 플랫폼 비즈니스의 빌드업 공식처음부터 많은 기능을 포함하여 출시할 생각을 버리고, 최소 단위의 꼭 필요한 기능만 넣어서 미리 팔아보기를 진행 하는 것이 좋다. 첫번째 사례요즘 대학생 필수 앱 중에 하나인 [에브리타임] 앱은 단순한 시간표 앱으로 시작을 했다. 사용자가 만, 십만 이상이 생겼을 때 커뮤니티로 확장을 하여 성공적으로 발전해왔다. 만약 처음부터 커뮤니티 기능까지 포함했다면 성공할 수 있었을까? 생각을 해보게 된다. 커뮤니티라는 것은 사용자가 적다면 무용지물인 컨텐츠라고 볼수 있다. 초반부터 커뮤니티 기능이 있었다면 사용자가 에브리타임을 시간표 앱 보다는 커뮤니티 기능의 앱으로 생각하고 사용했을 가능성도 있으며, 그렇다면 초기에는 사용자가 적기때문에 이탈이 발생하여 성공적으로 발전하지 못했.. 2025. 5. 15. [사업 개발 과제] 미리 팔아보기 시나리오 만들기 미리 팔아보기 시나리오 만들기 아이템 선정 : 학원 사업 1. 가설 세우기코딩 교육과 ChatGPT 같은 AI 강의 학원 사업을 한다면 자녀를 가진 부모들의 관심과 참여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. 2. 가설을 세운 이유코딩과 AI의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.초등학교 방과 후 수업은 이미 코딩 과목이 인기가 많다. 3. 미리 팔아보기를 어떻게 해야 할지 설명지역에 이미 활성화 되어 있는 커뮤니티(아파트 카페, 지역 카페 등)를 통해서 코딩 교육에 관심과 참여의지가 있는지를 확인한다. 최소 5~10명의 참여의사가 확인이 되었다면, 주 1회 정도의 재능 기부 형태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무료 교육을 진행하는 계획을 세우고 실행한다. 2주에서 한달정도 실행 후 아이들 및 학부모에게 피드백을 받아 사업 지속성을 .. 2025. 5. 9. 이전 1 다음 반응형